更新时间:11-12 (你好,学长)提供原创文章
적 요:한국의 소설사에서 1920년대를 논하고자 할 때 나도향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나도향은 김동인, 염상섭, 현진건 등과 함께 1920년대 근대 소설의 확립에 기여한 대표적인 작가 가운데의 한사람이다. 그러나 24세 에 요절하였고 그가 남긴 작품도 많지 않아 동시대에 작품 활동을 했던 작 가들에 비해 양적인 면에서 그리 많은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이 논문은 근대화, 특히 과도기로서의 근대성과 그 근대라는 현실을 인식하는 방법을 나도향 소설의 중심에 위치한 사랑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의 미를 살펴보고 나아가 성격의 변모에 대해서도 연구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서론과 결론을 제외하고 3부분으로 나눈다. 구체적으로 본문 의 제1부분에서는 나도향 소설의 바탕에 깔려있는 사랑의 면모를 확인하 기 위하여 당시 즉 근대적 사랑의 개념과 근대 소설의 배경이라 할 수 있 는 이광수의 『무정』을 중심으로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양상과 사회적 파장 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이 논문의 핵심이라 할수 있는 제2부분에서는 나도향의 소설 중에서 『환희』를 중심으로 ‘근대적인 사랑’과 관련된 미의 식을 포착할 것이며, 아울러 낭만적 감상성에서 어느 정도 탈피한, 즉 변모 의 모습을 보인 『어머니』, 『춘성』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또한 나도향 의 소설가로서의 면모를 세워주는 『물레방아』를 중심으로 낭만적 사랑을 통하여 자기를 구현하려는 노력과 그것을 가로막는 현실세계에 대하여 논 의할 것이다. 끝으로 제3부분에서는 제1부분과 제2부분을 비교, 대조한 후 나도향의 사랑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정리하고 그 사랑이 가지는 근대 성과 근대문학과의 관계를 정리해나갈 것이다.
키워드: 근대적 사랑, 근대화, 근대성,근대문학
中文摘要:韩国的小说史中,说到1920年代的话,就一定会提到罗稻香。罗稻香是1920年代近代小说的代表性作家之一。但是他于24岁时夭折,留下的作品与其他同时代作家相比并不多。本论文将以罗稻香小说中近代的浪漫爱情为中心进行论述,并通过罗稻香小说中的爱情,对近代以及近代之前的状况和特征进行探讨研究。
本论文除了序论和结论外,由三部分组成。第一部分,以李光洙的『무정』为背景来看罗稻香小说中的爱情,同时寻找罗稻香与其同时代的作家的作品中的爱情的普遍性。第二部分,以罗稻香的小说『환희』为中心捕捉与“近代爱情”有关的美意识,同时从『어머니』,『춘성』来看他的变化,再以『물레방아』为中心对罗稻香想通过浪漫的爱情来体现自己所做的努力,,以及阻拦他的现实世界进行研究。第三部分,将第一部分和第二部分进行比较,整理出罗稻香的爱情的意义和近代化以及近代文化之间的关系。
关键词:近代爱情;近代化;近代性;近代文学
지금까지 본고는 나도향 소설에 나타나는 사랑을 중심으로 근대화, 특히 과도기로서의 근대성을 밝히고자 했으며 나아가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구 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보인 사조적인 논쟁에서 벗어나 1920 년대 전반에 걸친 사랑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속에서 나도향 소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밝히려 하였다. 그리고 이것은 근대에 등장한 사랑의 기원과도 연결되는 작업이었다.
나도향 소설에 나타나는 사랑의 근대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구의 근대적 사랑이 지니는 성격을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서구에서의 근대적 사랑은 상대와의 관계를 통해 자기정체성을 확립하는 능동적 추구 의 과정이며, 나아가 한 사람에 대한 개인적 이상뿐만 아니라 공동체가 발 전해 나갈 길을 기획하고 펼쳐 나아가는 길이 된다.
그리고 나도향 소설에서 사랑이라는 요소의 배경이라 할 수 있는 이광수 의『무정』을 통해 나타나는 연애관과 사회적 파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917년에 발표된 이광수의『무정』은 당대 신 청년들의 뜨거운 관심과 호 응을 받는데 여기에는 이 작품이 소설로서는 처음으로 ‘연애’를 주된 테마 로 다루었다는 점이 결정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나도향의『환희』의 사랑 은 참사랑, 참인생 등 자기완성을 지향하지만 그것이 소설에서 구체적인 형상으로 드러나지는 못한다. 오히려 소설의 한 편에 자리잡은 것은 정욕 이나 육욕이었다. 이는 근대적 지표로서 사랑에 대한 작가의 지향과 소설 적 형상이 괴리를 보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나도향의 초기 작에서 사랑이 구체적인 형상을 드러낼 수 없었던 점, 그리고 정욕이나 육 욕이 그 자리를 메우고 있었던 이유, 또 소설 자체가 작가의 관념을 벗어 날 수 없었던 이유는 나도향의 지향 자체가 현실과 대응할 때 그 구체적인 모습을 지니기 불가능했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