更新时间:11-17 (你好,学长)提供原创文章
국문초록:한국어는 교착어로서 조사와 어미가 발달되어 있다. 이 가운데 어미중의 연결어미는 앞 문장과 뒤 문장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연결어미는 형태적으로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의미적으로 복잡해서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그 중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는 주로 (~아/어/여)/ (~아/어/여서), (~니)/(~니까), (~으므로), (~기에)/(~길래), (~기로), (~느라고) 등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의미와 실제용법을 살펴보면 다소 차이를 보이고 정확히 구별해야만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필자는 학습자들이 제일 많이 사용하는 아홉 개 인과관계 연결어미를 선택하여 유추이론, 비교이론 오류분석이론을 이용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고는 4부분으로 구성된다.1장 서론은 주로 본고의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범위, 그리고 인과관계 연결어미에 관한 선행연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2장은 본문의 중점이다. 우선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개념과 유형을 검토한 다음에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아/어/여)와 (~아/어/여서), (~니)와 (~니까), (~으므로), (~기에)와 (~길래), (~기로), (~느라고)등 아홉 개 어미를 각각의 구성, 중국의 표현 방법 그리고 실제 용법해석으로부터 연구했다. 2.3절에서 연결어미 (-아/어/여서)와 (-으니까),(-느라고)와 (-아/어/여서)의 차이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3장은 TOPIK 시험문제를 바탕으로 연결어미에 사용 오류원인과 예문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은 결론에서는 본고의 부족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키워드: 한국어 인과관계 연결어미
摘 要:韩国语作为黏着语,有着发达的助词和语尾。特别是语尾中的连结语尾在韩语学习中起着十分重要的作用,多样化的连结语尾、同义连结语尾的不同用法,成为学习者韩国语习得过程中的两大难点。
表示因果关系的连接语尾有(~아/어/여)/(~아/어/여서),(~니)/(~니까),(~으므로),(~기에)/(~길래),(~기로),(~느라고)等多个表现形式,其在词义和具体用法上都有着细微差别,因此必须正确区分才能灵活、准确地运用这些连结语尾。本文就以学习者使用频率最高的表示因果关系的连接词尾为研究对象,运用类比、对比分析及错误分析进行了深入研究。
全文分为以下四个部分:第一部分为绪论,主要阐述本文的研究目的,研究方法,研究对象及前人的研究成果;第二部分为本论,即论文重点,首先考查了因果连接词尾的含义和类型,并以此为基础,对九大词尾的构成,用法,注意点进行了深入细致的分析,更对‘아/어/여서’和‘으니까’,‘느라고’和‘아/어/여서’两对词尾进行了对比分析;第三部分中,首先揭示连接语尾的错误原因,之后对韩语能力考试中的三大类错误进行分析;第四部分为结论,主要对本文所述的内容进行概括总结,指出文中的不足之处及今后的努力方向。
关键词:韩国语;原因关系;连接词尾
본문에서는 한국어 연결어미 중 사용비도가 높은 인과관계을 나타내는 ‘(~아/어/여)
와 (~아/어/여서), (~니)와(~니까), (~으므로), (~기에)와 (~길래), (~기로), (~느라고)’ 등 여
러 가지 어미를 뽑아서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이 연결어미의 구성,통사적 및 의미적
기능을 살펴보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했다. 또한 시험 문제 오류분석을 통해 초, 중급 학습자들 실수하는 빈도를 줄이기 바란다.
1장은 서론은 주로 본고의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범위, 그리고 인과관
계 연결어미에 관한 선행연구를 개괄적 살펴보았다.
2장은 본문의 중점이고 우선 인과관계 연결어미의 개념과 유형을 검토했다. 그 다
음에 인과관계 연결어미 ‘(~아/어/여)와 (~아/어/여서), (~니)와 (~니까), (~으므로), (~기에)와 (~길래), (~기로), (~느라고)’ 등 아홉개 어미를 각각의 구성, 중국의 표현방법 그리고 실제용법해석으로부터 연구했다. 2.3절에서 연결어미 (-아/어/여서)와 (-으니까), (-느라고)와 (-아/어/여서)의 차이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3장은 TOPIK 시험문제를 바탕으로 인과관계 연결어미를 고찰한 내용을 분석을 통
해 오류를 범하는 원인을 제시하였다. 오류양상을 구체적으로 보면 대체 시제오류, 이형태 오류, 대치 오류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시제 오류와 이형태 오류 보다는 대치 오류가 더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각 연결어미의 의미와 기능 그리고 용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 부족과 한 어미가 다양한 의미 기능을 가지며, 여러 어미가 동일한 의미와 기능을 수행하는 한국어 어미 체계의 복잡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 그 원인은 대체로 ’학습 및 사용 습과 영향, 모국어 영향, 각 연결어미 간의 차이점을 파악 부족’으로 보았다.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각 연결어미의 의미를 정확히 인식시키고 대치 가능성이 높은 어미와 비교를 통한 연습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특정 시험 문제만 선택하였고 자기 실력 때문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논문은 작문의 오류분석은 쓰기문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다. 듣기, 말하기와 다른 언어능력에 대해서 오류 분석을 한다면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 그리고 주변 참고자료가 부족하기에 항상 제약이 받은 데가 좀 더 많이 보일 수 있다. 기회가 있다면 꼭 이 분야에서 깊이 연구하기로 하겠다.